정수형(2)
-
C언어 기초교육(5/10)
자, 이번 장에서도 잊지 않고 복습과 이전에 배웠던 것에 대해 추가 설명을 하겠다. 1. main 함수란 C프로그램의 시작점, 진입점(Entry Point)이다. 2.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이다. 데이터의 타입에는 정수형(int), 실수형(float), 배정밀도 실수형(double), 문자형(char) 등이 있다. 3. 초기화란 선언한 변수에 값을 할당하는 것을 가리킨다. 4. printf 함수는 변수를 출력하는 데에 사용되며 형식지정자(%d, %c, %f, %lf) 등을 사용하여 각 변수의 값을 출력한다.%d는 정수형(int), %c는 문자형(char), %f는 실수형(float), %lf는 배정밀도 실수형(double)를 불러올 때 쓴다.ex)#include int main() { /..
2024.05.18 -
C언어 기초교육(4/10)
[복습]자, 이번엔 1장부터 3장까지 배웠던 내용을 복습하려고 한다. 내가 항상 복습을 강조하는 이유는 사람의 뇌는 여러 번 익혀야 기억이 오래가기 때문이다. 1. C언어는 시스템 프로그래밍 및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사용되는 범용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2. 1970년대에 데니스 리치가 벨 연구소에서 개발하였다. 3. main 함수는 C프로그램의 시작점이자 진입점이다. 4. main 함수는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선 두 개 이상 사용 할 수 없다. 5. 변수란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을 의미하며 변수는 특정 값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필요할 때 이 값을 불러와 사용 할 수 있도록 한다. 6. 데이터에는 다양한 타입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정수형(int), 실수형(float), 문자형(char) 등..
2024.05.17